본문 바로가기
PowerBuilder

파워빌더가 무엇인가요?

by 엔터티 2020. 9. 13.
반응형

워빌더(PowerBuilder)는 SAP의 지사 사이베이스(Sybase) 소유의 통합 개발 환경 입니다.

4GL 중에서 DB 프로그래밍 최강의 언어입니다.

1991년 이후로 사용되었고, 1998년에는 100,000명의 사용자가 사용할만큼 최고조에 이르렀었어요.

2013년 SAP는 넷 프레임워크 4.5,SQL서버 2012, 오라클12, 윈도우8, OData  Dockable Windows를 지원하는 버전 12.6으로 출시했어요.

그러나, 아쉽게도 저는 11.5 버전을 사용하고 있네요 ㅠㅠ

 

그 뒤 2016년 Appeon과 차세대 파워빌더 플렛폼을 개발하고자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그 산물로 파워빌더 2017, 파워빌더 2019가 출시가 되어 사용 중입니다.

 

파워빌더의 장점

  1.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매우 쉽고 다양한 양식의 보고서를 빠르게 작성할 수 있는 강력한 데이터윈도우 기능.
  2. GUI 환경을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에서 C/S 프로그래밍, 웹 애플리케이션, 분산 환경 애플리케이션등을 빠르게 개발할 가능.
  3. 파워빌더 프로그램은 윈도우, 유닉스 같은 다양한 운영체제에서도 가상머신을 통해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4. 파워빌더는 4세대 언어를 채용한 대표적인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Tool) 툴 중 하나이다. 
    (RAD :  마우스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강력한 기능의 툴)
  5. 파워스크립트라는 파워빌더 전용 네이티브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
  6. 서버 프로그래밍 언어로 C#을 지원
  7. 객체 지향 기법을 사용하여 캡슐화, 상속화, 다형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재사용, 확장성이 용이
  8. VB 같이 디자인이 자동적으로 코딩
  9. 데이터베이스 연동이 기본적으로 제공
  10. 개발자 중심으로 디버깅이 가능
  11. PowerServer와 함께 범용 코드 기반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웹 및 모바일에 신속하게 배포
  12. 데이터베이스만을 다루지 않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는 비주얼 베이직이나 비주얼C++, 델파이 등 다른 언어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고 불편하다는 단점

물론 껍데기가 안이뻐서 델파이를 쓴다는 사람도 있는데...
DB연동 C/S환경으로 가장 이상적인 언어죠...

 

하지만 이전 버전의 파워빌더는 언어의 확장성이 다소 제한적이었어요.

파워빌더의 강점인 데이터윈도우의 상속도 불가능했죠.

그래서 Appeon은 파워빌더의 새로운 로드맵을 제시했어요..

 

파워빌더2019 로드맵

파워빌더 2019에서는 기존 .NET 데이터 윈도우의 자동화된 마이그레이션으로 새로운 .NET 데이터 윈도우(DataWindow)를 중심으로 한 C# 개발이 도입되었지만.....

파워빌더 2019를 구매할 비용은 없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