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개요
사용자와 개발자의 성능관점 차이
사용자 : 성능이라는 것은 실행 시 시스템이 실행명령에 얼마나 빨리 응답하느냐는 것이다.
개발자 : 성능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
▶ 서버의 부하
▶ 네트웍의 거리
▶ 사용자 수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 데이타베이스 설계와 정규화
▶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와 작성
▶ 사용자의 인지도
일반적인 성능 불만 사항
▶ 원도우를 열때
▶ 데이터 조회시
▶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 필드간 이동시
▶ 윈도우 간 이동시
▶ 계속하여 실행시
* WIN98에서는 OS자체 버그로 에러발생 가능(펜타에서 ...)
어플리케이션 환경점검
어플리케이션 문제인지 구성 문제인지?
보다 더 성능이 뛰어난 기계에서 실행
관련모듈을 클라이언트에 설치
설계 재점검
잘못된 설계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존 프로그램보다는 설계 변경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
시간측정
long ll_start, ll_elapsed
//시작 시간 지정
ll_start = CPU()
//측정할 과정 기술
...
//경과 시간 계산
ll_elapsed = CPU() - ll_start
부하를 이동하거나 분산
긴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면 동일하게 시간이 걸려도 사용자는 덜 지루함.
모든 데이터를 조회 후 윈도우를 보여주는 것 보다는 윈도우를 먼저 보여주고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 주는 게 효과적.
Open시 retrieve시키지 않는다.
dw control의 contructor event에 스크립트를 넣지 않는다.
사용자에게 볼 것을 제공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 변경
도움말(MicroHelp) 제공
진행과정을 측정기로 보여줌
취소할 수 있게
'PowerBuil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뷰 데이터윈도우로 좌측메뉴 만들기 (0) | 2021.06.07 |
---|---|
파워빌더 성능관리 - [2장. 해당 실행 모듈 호출] (0) | 2021.06.07 |
파일 관련 함수 (파워빌더 8.0이상) (0) | 2021.06.05 |
동적으로 데이타윈도우(DW) 쿼리 수정하기 (0) | 2021.06.04 |
[파워빌더] 변경내용 로그 저장 (0) | 2021.06.04 |
댓글